안녕하세요 건강박사입니다.
백신 접종으로 잠잠해 질줄 알았던
코로나 바이러스가
1.6배 전파력이 강한
델타 변이로 인해
다시 급속도로 퍼지고 있습니다.
이번 변이는 왜 델타 변이라고 불리는 걸까요?
세계보건기구는 국가에 대한
낙인 효과를 제거하려는 목적으로
변이 바이러스 이름에
영국, 남아공, 인도 등
기존의 ‘발생지가 보고된 국가명’을 빼는 대신
그리스 문자를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새로운 작명 방식에 따라,
영국 변이 바이러스는 ‘알파 변이’,
남아공 변이는 ‘베타 변이’,
인도 변이는 ‘델타 변이’로 불리게 됬습니다.
델타변이는 기존의 바이러스에서 어떤 부분이 변했을까요?
출처 입력
바이러스변이는
인간의 세포와 결합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에
변형이 생긴 바이러스 입니다
스파이크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이
다른 아미노산으로 바뀌면서
전체 구조에 변형이 생깁니다.
이번 델타 변이에서는
19번째,142,452,484,614,681,950번째
아미노산들이 바뀌었습니다.
예를 들어 L452R변이를 살펴보면
452번째 아미노산인 류신이
아르기닌으로 치환되었는데
이는 물을 싫어하는 성질인 류신이
물을 좋아하는 아르기닌으로 바뀌면서
스파이크모양을 크게 뒤틀어
전체구조에 변형을 줍니다.
이때 우연히 이 모양이
인간의 세포와
더욱 강하게 결합을 하면
사람에게 감염이 더욱 잘되는
바이러스가 되는 것입니다.
이번 델타 변이는 기존의 변이 보다
1.6배 전파력이 강합니다.
델타변이는 기존의 백신의 효과는 어느정도로 유지될까요?
영국 공중보건국 NHS의 조사를 따르면
1차 접종만 했을 때는
델타 변이 예방 효과가
화이자의 경우 33.2%,
아스트라제네카는 32.9%로 매우 낮습니다.
1회차만 접종했을 때는 예방률이 낮아
주의가 요구됩니다.
2회차 접종을 했을 경우
화이자 백신으로 87.9%,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으로 59.8% 예방됩니다
이는 기존 바이러스에 대한
화이자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예방률 91.3%, 81.5%에 비해 다소 낮습니다.
오늘은 델타변이의 특징들을 알아봤습니다.
전파력이 강한 델타변이에 대비하기 위해
개인위생관리에 좀 더 신경쓰면 좋겠습니다.
구독과 좋아요 알림설정 부탁드립니다
오늘 내용이 도움 되셨다면
이 영상을 주위분들에게도
널리 공유해주세요
건강을 위한
더 좋은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건강정보 > 코로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얀센 백신 델타변이로 추가 접종 (부스터 샷) 필요성 대두 [화이자 아스트라제네카 모더나] (0) | 2021.07.02 |
---|---|
코로나 백신 부작용을 최소화 하기 위한 5가지 방법[얀센백신,화이자,모더나,az,아스트라제네카,델타변이] (0) | 2021.06.30 |